#이데일리 2019년 08월 09일
[1]기사내용
- 7월 ELS 발행액<상환액…ELS 재투자 흐름 끊겨
- "주식시장 위기감 팽배…박스권 이탈에 ELS 유입 더뎌"
- ELS 발행액도 매달 줄어들어…"무리해서 투자할 필요 없다"
코스피 지수가 2000선 밑으로 주저앉으면서 시장이 위기감에 휩싸였다. 지수가 더 하락할 수도 있다는 불안이 팽배해지면서 중위험·중수익을 노리는 상품인 주가연계증권(ELS)으로도 자금 유입이 뚝 끊긴 모양새다.
증권가에선 이같은 현상은 극도로 악화된 투자심리가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주식시장을 떠받칠 호재가 특별히 보이지 않는 만큼 당분간 ELS 등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는 쉬어갈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 7월 ELS, 발행액<상환액…지수 폭락에 재투자 줄어
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ELB·ELS(원화·외화 포함)의 총 발행액은 7조 7641억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상환된 ELS 자금은 총 9조 3875억원으로 발행액보다 1조 6000억원 이상 적었다.
ELS는 보통 코스피200, 홍콩H지수, 미국 S&P500지수, 유로스톡스50지수 등 대표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아 이들 지수가 정해진 구간 밑으로 하락하지만 않으면 이자를 붙여 상환해 주는 상품이다. 보통 반년, 1년, 2년, 3년 단위로 지수가 정해진 구간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평가해 상환이 결정되는데 정해진 구간을 밑돌면 낙인(Knock-in·원금손실조건)이 발생한다. ELS는 상환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다른 상품보다 커 ‘중위험·중수익’의 대표적 재테크 상품으로 불려왔고, 상환액 대부분이 또 다른 ELS 상품으로 곧바로 재투자되는 등 고객들의 충성도가 높은 편이다.
그런데 7월 ELS 발행액이 상환액보다 적었다는 건 그만큼 재투자가 줄었다는 의미다. 1월께 ELS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반 년 뒤인 지난 7월 상환받았지만 이 중 상당수가 재투자를 포기했다는 얘기다. 실제 7월 ELS의 조기상환금액은 총 8조 4239억원으로 전체 상환금액의 89.7%를 차지한다.
증권가에선 최근 주식시장의 눈에 띄는 부진이 이같은 결과를 불러왔다고 분석한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통 ELS는 상환된 금액이 대부분 재투자가 되기 때문에 매달 발행액과 상환액이 거의 비례하는데 발행액이 상환액보다 훨씬 적은 것은 현재 주식시장에 대한 위기감이 그만큼 팽배하다는 것”이라며 “ELS는 지수가 박스권에서 움직일 때 꾸준히 유입되는데, 2015년 홍콩H지수 급락사태처럼 지수가 박스권 하단을 이탈하게 되면 급격히 자금이 유출되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 ELS 발행액 매달↓…“무리해 투자할 필요 없다”
ELS의 발행액 규모 자체도 쪼그라들고 있다. 연초 글로벌 증시가 호조를 보이면서 ELS는 4월 한 달 간만 발행액이 10조원을 넘어서기도 했지만, 미·중 무역분쟁이 재차 고조된 5월 이후론 투자 열기가 급격히 식고 있는 탓이다.
ELS의 월별 발행액은 △1월 5조 5166억원 △2월 5조 2073억원 △3월 9조 1458억원 △4월 10조 1119억원 △5월 9조 7101억원 △6월 7조 9659억원 △7월 7조 7641억원으로, 연초 이후 서서히 증가하다 5월부터 꺾이는 모양새다.
연초 ELS에 자금을 넣은 투자자들은 조기상환 불발을 걱정해야하는 처지에까지 놓인 상황이다. 보통 6개월째 조기상환은 투자시점보다 지수가 5~15%가량 추가 하락하지 않았을 때에만 이뤄지는데 지수가 큰 폭으로 내린 까닭이다. 만약 3월 초에 ELS에 투자했을 경우, 현재 주가가 3월 초 대비 12% 가량 빠졌기 때문에 이미 조기상환이 불가능한 상황이거나 앞으로 추가로 2~3%만 더 하락해도 자금이 오래 묶일 수 있다.
증권가에서도 지금 시장 상황에서는 굳이 위험을 감수하며 위험자산에 투자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코스피 지수가 급락한 만큼 단기적 반등은 노려볼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지수를 올릴 만한 호재가 눈에 띄지 않는 상황”이라며 “지금이라면 무리해서 ELS 등에 투자할 필요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2]왜 사람들이 ELS에 관심을 갖게 되었나?
#요즘 코스닥, 코스피 지수하락을 통해 안전자산 선호도 심리가 높아지고 ELS 열기가 시들해지고 있다. 일본 불매 운동, 미중 무역전쟁 등을 통해 우리나라 원화 가치 또한 하락을 하고 있다. 주가와 연계된 ELS또한 위험성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심각한 상황이 오기 전, 많은 사람들이 ELS에 관심을 가졌던 이유는 무엇일까? 은행을 찾는 고객들은 금리가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저금리 시대에서 예,적금 보다는 수익률이 더 높은 상품을 찾게 될 것이다. 그래서 수익성을 기대 할 수 있는, 주가와 연계된 상품을 추천해 줄 것이고, 낙인, 등의 안전 장치가 있는 안전형 상품을 추천해 줄 것이다. 그래서 스텝다운형 ELS를 추천하게 될 것이고, 고객들이 ELS를 더 관심해서ㄷ있게 찾게 된 것 같다.
하지만 ELS가 정말 수익률을 높게 측정했다고 해서, ELS에 가입한 고객이 예적금에 비해 이익을 얻을지는 곰곰이 따져보아야 한다. 물가상승률이 연 2%오르고, 이를 3년동안 지켜본다면, 또한 세금을 낸다면 예,적금과 비교해서 더낮은 금리를 받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1일 1 오피니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LS불완전판매 조사_독일국채연계파생연계상품DLS (0) | 2019.08.14 |
---|---|
14번째 부동산 대책, 노정부 떄와 빼닮은 반 시장 처방 (0) | 2019.08.14 |
민간택지 상한제는 신축과 구축의 양극화를 부추긴다. (0) | 2019.08.08 |
시중은행 金 판매량 작년보다 최고 4배 '껑충' (1) | 2019.08.07 |
2개의 무역전쟁 '검은 월요일' 공습 (0) | 2019.08.06 |